브랜드 30

가짜 순우리말을 걸러 낸 진짜 순우리말 - ㅊ편

가짜 순우리말을 걸러 낸 진짜 순우리말, 이번에는 ㅊ편이 이어집니다. ㅊ편 중에서 몇 가지 우리말을 먼저 소개하겠습니다. 차렵은 옷이나 이불 따위에 솜을 얇게 두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보통 차렵이불​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는데요, 솜을 얇게 두어 지은 이불을 뜻하는 말입니다. 이 외에도 차렵것(솜을 얇게 두어 지은 옷), 차렵두루마기, 차렵저고리, 차렵바지 등의 말이 있습니다. 차반은 예물로 가져가거나 들어오는 좋은 음식, 맛있게 잘 차린 음식을 뜻하는 말입니다. 개차반이라는 말은 개가 먹는 음식인 똥이라는 뜻으로, 언행이 몹시 더러운 사람을 속되게 이르는 말입니다. 차반의 본딧말은 한자어 다반(茶飯)입니다. 참고로 다반사(茶飯事)는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일이라는 뜻으로, 보통 있는 예사로운 일을 이르..

가짜 순우리말을 걸러 낸 진짜 순우리말 - ㅈ편

가짜 순우리말을 걸러 낸 진짜 순우리말, 이번에는 ㅈ편이 이어집니다. ㅈ편 중에서 몇 가지 우리말을 먼저 소개하겠습니다. 자국눈은 겨우 발자국이 날 만큼 적게 내린 눈을 뜻하는 말입니다. 한자로는 박설(薄雪)이라고도 하는데, 우리말 자국눈이 훨씬 좋네요. 그럼 아주 적게 내린 비는 자국비일까요? 아니죠~ 그런 말은 없습니다. 순우리말 '먼지잼'이 있습니다. 이 말은 비가 겨우 먼지나 날리지 않을 정도로 조금 오는 것을 말합니다. 눈은 발자국, 비는 먼지와 연결하여 표현하는 것이 참 재미있습니다. 자드락은 나지막한 산기슭의 비탈진 땅을 뜻하는 말입니다. 자드락길이라는 말도 있는데요, 자드락에 난 좁은 길입니다. 자드락과 비슷한 말로 산자락이 있는데요, 밋밋하게 비탈져 나간 산의 밑부분을 뜻하는 말입니다. ..

가짜 순우리말을 걸러 낸 진짜 순우리말 - ㅇ편

가짜 순우리말을 걸러 낸 진짜 순우리말, 이번에는 ㅇ편이 이어집니다. ㅇ편 중에서 몇 가지 우리말을 먼저 소개하겠습니다. 아귀는 사물의 갈라진 부분, 두루마기나 속곳의 옆을 터 놓은 구멍, 씨앗이나 줄기에 싹이 트는 곳의 의미가 있습니다. '아구가 맞다'가 아니고 '아귀가 맞다'가 맞는 말입니다. 우리가 손아귀라고 말하는 것은 엄지손가락과 다른 네 손가락과의 사이(갈라진 부분)라는 의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아구탕, 아구찜이라고 잘못 사용하는 그 아구의 뜻도 있습니다. 아스라이는 보기에 아슬아슬할 만큼 높거나 까마득할 정도로 멀게, 기억이 분명하게 나지 않고 가물가물하게, 먼 곳에서 들려오는 소리가 분명하지 아니하고 희미하게의 의미가 있습니다. 거리, 기억, 소리 등이 분명하지 않고 가물가물할 때 다양한..

가짜 순우리말을 걸러 낸 진짜 순우리말 - ㅅ편

가짜 순우리말을 걸러 낸 진짜 순우리말, 이번에는 ㅅ편이 이어집니다. ㅅ편 중에서 몇 가지 우리말을 먼저 소개하겠습니다. 사갈은 우리가 등산할 때 사용하는 독일어 아이젠(Eisen)과 유사한 순우리말입니다. 산을 오를 때나 눈길을 걸을 때, 미끄러지지 아니하도록 굽에 못을 박은 나막신, 또는 눈이나 얼음 위에서 미끄러지지 아니하도록 신 바닥에 대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 이번 겨울 산행에 사갈 사갈까”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갈의 눈내리는 마을?? 사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사달​은 사고나 탈을 의미합니다. ‘결국 이런 사단이 났다’와 같이 사달이 들어갈 자리에 사단을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사단(事端)은 사건의 단서나 일의 실마리를 의미합니다. 사리는 국수, 새끼, 실 따위를 동그랗..

가짜 순우리말을 걸러 낸 진짜 순우리말 - ㅂ편

가짜 순우리말을 걸러 낸 진짜 순우리말, 이번에는 ㅂ편이 이어집니다. ㅂ편 중에서 몇 가지 우리말을 먼저 소개하겠습니다. 바냐위다는 성질이 얄미울 정도로 약삭빠르고 아주 인색하다는 의미입니다. 바람꽃은 큰 바람이 일어나려고 할 때 먼 산에 구름같이 끼는 뽀얀 기운을 말합니다. 바람꽃은 또한 미나리아재빗과에 속하는 야생화의 이름이기도 합니다. 노래 제목과 그룹 이름으로도 유명합니다. 바람만바람만은 바라보일 만한 정도로 뒤에 멀리 떨어져 따라가는 모양을 의미하며, 노래 제목으로도 유명합니다. 바람머리는 바람만 쏘이면 머리가 아픈 병이라는 뜻입니다. 머리 스타일을 말할 때는 한 단어가 아니므로 바람 머리라고 씁니다. ~바리는 사람을 낮잡아 부르는 용도의 접미어입니다. 감바리, 군바리, 꼼바리, 데퉁바리, 뒤듬..

가짜 순우리말을 걸러 낸 진짜 순우리말 - ㅁ편

가짜 순우리말을 걸러 낸 진짜 순우리말, 이번에는 ㅁ편이 이어집니다. ㅁ편 중에서 몇 가지 우리말을 먼저 소개하겠습니다. 마닐마닐하다는 음식이 씹어 먹기에 알맞도록 부드럽고 말랑말랑하다는 뜻을 가진 말입니다. 그러고 보니 정말 마닐마닐이 부드럽고 말랑말랑해 보이네요.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말할 때 마뜩잖다라고 표현하는데요, 마뜩하다는 제법 마음에 들 만하다의 의미입니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칠칠맞지 못하다라는 말 때문에 칠칠맞다가 부정적인 이미지가 있는 것처럼, 마뜩하다라는 말도 부정적인 의미로 생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 것 같습니다. 마루는 등성이를 이루는 지붕이나 산 따위의 꼭대기, 파도가 일 때 치솟은 물결의 꼭대기, 일이 한창인 고비, 어떤 사물의 첫째 또는 어떤 일의 기준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브랜드셋] 가짜 순우리말 모음 완결판

진짜 순우리말을 울리는 '가짜 순우리말', 지금까지 알려진 거의 모든 가짜 순우리말을 정리하여 올려 드립니다. 가짜 순우리말 모음의 완결판입니다. 온라인에 있는 정보를 짜깁기한 것이 아니라, 온라인에 순우리말로 소개되어 있는 거의 모든 낱말을 직접 수집하여 정리하고, 모든 단어의 뜻을 사전을 찾아 확인하고 그 의미를 분석한 것입니다. 단어를 클릭하면 유래와 근거 등 세부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평소에 가짜 순우리말이라고 알고 있던 말이 없다면 단어의 해당 편(ㄱ~ㅎ)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근거가 있는 말들은 가짜 순우리말에 포함시키지 않았지만, 따로 구분하여 자세한 설명을 달았습니다. 아래와 같이 가짜 순우리말의 유형을 일곱 가지로 구분했습니다. 1. 오자(誤字)가 잘못 알려진 말 2. 의미가 ..

진짜 순우리말을 울리는 '가짜 순우리말' - ㅈ편

진짜 순우리말을 울리는 '가짜 순우리말', 지난번 ㅇ편에 이어 ㅈ편을 시작합니다. 가짜 순우리말 논란이 있는 우리말들을 모아서 출처와 뜻을 살펴보고 가짜 순우리말을 걸러 내 알려 드립니다. 따라서 여기에 언급되는 모든 말들이 가짜 순우리말은 아닙니다. 가짜 순우리말들은 주로 의도적으로 새롭게 만들어지거나, 실수나 오해로 생겨나거나, 또는 오자(誤字)로 인해 잘못 알려진 것들입니다. 오늘은 제나, 진번질하다(질번질번하다), 짝자꿍이(짝짜꿍이), 집알이, 짜장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가짜 순우리말 논란이 있는 ㅈ으로 시작하는 우리말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확실한 가짜 순우리말] 확실한 가짜 순우리말은 의도적으로 지어낸 말, 오자가 잘못 알려진 경우, 의미나 용법이 틀린 경우 등이 포함됩..

가짜 순우리말을 걸러 낸 진짜 순우리말 - ㄹ편

가짜 순우리말을 걸러 낸 진짜 순우리말, 이번에는 지난번 ㄷ편에 이어 ㄹ편이 이어집니다. 사실 ㄹ로 시작하는 순우리말은 거의 없습니다.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ㄹ로 시작하는 순우리말은 모두 만들어 낸 가짜 순우리말입니다. 왜 그럴까요? 아~ 두음법칙! 그렇죠. 우리말에 두음법칙이라는 것이 있죠. 일부 소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발음되는 것을 꺼려 나타나지 않거나 다른 소리로 발음되는 것입니다. ‘ㅣ, ㅑ, ㅕ, ㅛ, ㅠ’ 앞에서의 ‘ㄹ’과 ‘ㄴ’이 없어지고, ‘ㅏ, ㅗ, ㅜ, ㅡ, ㅐ, ㅔ, ㅚ’ 앞의 ‘ㄹ’은 ‘ㄴ’으로 변하는 것 등입니다. 아시는 것처럼 북한어는 두음법칙이 없습니다. 한글 맞춤법 제5절 제10항에서 제12항에 따르면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가짜 순우리말을 걸러 낸 진짜 순우리말 - ㄷ편

가짜 순우리말을 걸러 낸 진짜 순우리말, 이번에는 지난번 ㄴ편에 이어 ㄷ편이 이어집니다. ​ ㄷ편 중에서는 다모토리, 다솜, 닦달하다, 대갚음, 도떼기시장, 따지기, 뜨악하다, 떼꾼하다, 띠앗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모토리는 큰 잔으로 파는 소주나 소주를 큰 잔으로 마시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순일본어' 느낌이 이빠이 나지만 일본어인 근거를 전혀 찾을 수가 없고, 순우리말일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실려있지 않지만 우리말샘에는 ‘선술’의 함경북도 방언이라고 올라와 있으며,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는 소주를 큰 잔으로 마시는 일. 또는 큰 잔으로 파는 소주, 소주를 큰 잔으로 파는 선술집이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소주 대폿집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최근에는 놀고 먹을 수 있는 술집..